플로리다주에 한파가 닥치면 미국 저녁에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오렌지 주스가 가격이 오르고, 뉴잉글랜드 지방의 여름 기온이 상승하면 카리브해의 호텔 객실 요금이 폭락한다. 중동에서 전쟁이 일어나면 미국의 휘발유 가격은 오르고 중고 캐딜락 자동차 가격은 하락한다. 이러한 현상들은 모두 시장 수요,공급원리에 작동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수요와 공급이라는 두 단어는 경제학자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용어인데 여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수요와 공급은 시장경제 체제를 움직이는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수요와 공급은 각 재화의 생산량과 판매가격을 결정한다. 따라서 어떤 사건이나 정책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고 싶다면, 먼저 그 사건이나 정책이 수요와 공급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 봐야 한다.
소비자와 판매자가 어떻게 행동하며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보고, 시장경제에서 수요와 공급이 가격을 어떻게 결정하며 결정된 가격이 경제의 희소자원을 어떻게 배분하는지 알아보자.
시장과 경쟁
수요와 공급은 시장 경쟁 시장에서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행위를 말한다. 구매자와 판매자의 형태를 분석하기에 앞서 시장과 경쟁의 의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시장이란 무엇인가
시장이란 특정한 재화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사람들의 모임을 말한다. 하나의 집단으로서 구매자들은 상품에 대한 수요를 결정하고 판매자들도 하나의 집단으로서 상품의 공급을 결정한다.
시장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곡물 시장처럼 정교하게 조직된 시장에서는 소비자와 판매자가 일정한 시간에 일정한 장소에서 만나 경매인의 도움으로 가격을 결정하고 거래한다.
그러나 이렇게 체계적으로 조직된 시장은 많지 않다. 어느 동네의 아이스크림 시장을 생각해 보자. 여기저기에 약간씩 다른 아이스크림을 파는 가게들이 있고, 경매인이 거래를 성사하게 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 가게 주인이 가격을 붙여놓고 소비자는 아이스크림을 어느 가게에서 얼마나 살지 결정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스크림 소비자들과 공급자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아이스크림 소비자들은 다양한 아이스크림 가게 중에서 선택을 하고 아이스크림 가게들은 그 소비자들에게 자신의 아이스크림을 더 팔려고 노력한다. 세계적으로 조직되어 있지는 않지만, 아이스크림 소비자들과 공급자들은 하나의 시장을 형성하는 것이다.
경쟁이란 무엇인가
다른 많은 시장과 마찬가지로 아이스크림 시장은 매우 경쟁이 심하다. 각 소비자는 아이스크림 가게가 여러 개 있다는 사실을 알며, 판매자들도 자신이 팔고자 하는 아이스크림과 비슷한 아이스크림을 파는 가게가 여러 곳이 있다는 것을 안다. 결과적으로 아이스크림에 가격과 판매량은 어느 한 소비자나 판매자가 아니라 시장에서 전체 소비자와 전체 판매자의 사용자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된다.
경쟁시장이란 소비자와 판매자가 매우 많아서 개별 소비자나 판매자가 시장 가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시장을 말한다. 다수의 판매자가 비슷한 아이스크림을 팔기 때문에 특정한 판매자가 가격을 마음대로 결정할 수는 없다. 어느 판매자도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할 이유는 없으면 없으며, 혹시 다른 가게보다 가격을 높게 책정한다면 소비자들이 다른 가게에서 아이스크림을 살 것이다. 한편 개별소비자의 아이스크림 구입량은 매우 적기 때문에 역시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렇게 시장이 완전 경쟁적이라고 가정한다. 완전경쟁시장은 판매되는 재화들이 동일하며, 소비자와 판매자의 수가 너무 많아서 각 소비자와 판매자는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시장이다. 완전경쟁시장에서는 소비자나 판매자가 시장에서 결정되는 가격을 받아들여야 하므로 이들을 가격 수용자라고 한다. 시장가격에서 소비자들은 원하는 만큼 살 수 있고 판매자는 원하는 만큼 팔 수 있다.
실제로 완전경쟁시장의 두 가지 가정이 완벽하게 적용되는 시장이 있다. 예를 들어 밀 시장에서 밀을 팔려는 농부는 수천 명, 소비자는 수백만 명이다. 따라서 개별소비자나 농부는 밀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시장 가격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완전경쟁시장은 그리 많지 않다. 어떤 시장에는 판매자가 하나만 있어서 이 판매자가 가격을 결정한다. 이러한 판매자를 독점이라고 하는데, 지역 케이블TV 회사가 한 예가 될 것이다. 어떤 시장은 완전경쟁과 완전독점의 중간적 성격을 띤다.
현실 세계에는 다양한 형태의 시장이 존재하지만, 완전경쟁시장은 가장 단순화되면서도 유용한 시장 모형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공부하기로 한다. 완전경쟁시장은 시장 참여자 모두 시장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분석하기 쉽다. 또 대부분의 시장에서 어느 정도는 경쟁이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경쟁시장에서 일어나는 수요,공급의 현상에 대한 분석 결과는 보다 복잡한 시장에도 적용된다.
- 시장이란 특정한 재화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 경쟁시장이란 소비자와 판매자가 매우 많아서 개별소비자나 판매자가 시장 가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 못하는 시장을 말한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요 1 (0) | 2024.01.13 |
---|---|
공급 1 (0) | 2024.01.12 |
비교우위 원리의 응용 (0) | 2024.01.11 |
비교우위 : 전문화의 배경 (0) | 2024.01.09 |
생산가능곡선 (0) | 2024.01.09 |